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개편되었습니다. 환경부가 발표한 ‘2025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방안’에 따라 보조금 지원 기준과 금액이 변경되었는데요, 어떤 내용이 바뀌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주요 변경사항
보조금 지원 금액 변경
2025년에는 전기차 보조금 최대 지원 금액이 다소 감소했습니다. 중·대형 전기승용차의 경우 지난해 650만 원에서 580만 원으로, 소형 승용차는 550만 원에서 530만 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더 많은 차량에 보조금을 지원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른 것입니다.
전기차 보조금 예산은 1조5057억7000만원으로 지난해 1조7640억원보다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성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차량일수록 더 많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차량 가격 기준 강화
차량 가격 기준이 강화되어 5300만원 미만의 전기차만 전액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기준인 5500만원에서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전기차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성능과 안전성에 따른 보조금 차등 지급
주행거리와 충전속도에 따른 차등
1회 충전 주행거리에 따른 보조금 차등을 강화했습니다. 주행거리가 440km 미만인 차량은 보조금 감소폭이 확대되도록 하고, 충전속도에 따른 추가 보조금(인센티브) 지급 구간도 상향하여 주행거리 및 충전속도로 인한 불편이 적은 전기차를 우대하도록 했습니다.
안전성 강화 인센티브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제공하고 주차 중 이상 감지 및 알림 기능이 있는 차량에는 안전 보조금 50만 원이 지원됩니다. 또한 전기차만 판매하는 테슬라와 BMW는 오는 6월까지 ‘제조물 책임보험’에 가입해야만 전기차 보조금 수급이 가능해집니다.
특별 지원 대상 확대
청년 및 다자녀 가구 보조금 확대
청년과 다자녀 가구에 대한 보조금이 확대됩니다.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이 생애 처음으로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기본적으로 국비보조금의 20%를 추가로 지원받도록 하였습니다.
다자녀 가구 역시 보조금을 자녀 수에 따라 정액으로 추가 지원받게 됩니다. 자녀가 2명일 경우 100만원, 3명일 경우 200만원, 4명 이상일 경우는 300만원의 추가 보조금이 제공됩니다. 이는 기존의 정률 지원 방식에서 정액 지원 방식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어린이 통학용 전기 승합차 보조금 확대
어린이 통학용 전기 승합차 보조금도 확대되는데 대형 차량은 최대 1억 1500만 원, 준형 차량은 1억 원까지 지원됩니다.
차종별 보조금 지원 현황
국산차와 수입차 보조금 차이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6와 기아의 EV6와 같은 국산 전기차는 최대 보조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고, 반면 테슬라 모델Y와 같은 일부 수입차는 보조금 혜택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아이오닉6는 580만 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반면, 중국산 테슬라 모델Y는 169만 원의 보조금만 받을 수 있어 차이가 큽니다.
보조금 확인 방법
차종별 전기차 보조금 확인은 환경부가 운영하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구매보조금 지급대상 차종’을 확인하면 2025년 환경부에서 지정한 보조금이 자동차 모델마다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자체별 추가 보조금
전기차를 구매할 때 실제 받는 보조금 지급액은 국고 보조금과 지방비 보조금, 인센티브를 더한 값입니다. 지방비 보조금은 구매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지자체 보조금은 선착순으로 지급되기에 연초에는 고갈될 확률이 낮지만, 구매 이전에 본인이 속한 지자체의 잔고 대수가 얼마나 남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성능과 안전성을 갖춘 전기차를 우대하는 한편, 구매자의 가격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이 정보들을 참고하셔서 최대한의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